Surprise Me!

[3분증시] 뉴욕증시, 연준 '매파' 불러드 발언에 하락 外

2022-11-17 0 Dailymotion

[3분증시] 뉴욕증시, 연준 '매파' 불러드 발언에 하락 外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세계 증시와 우리 증시를 짚어보는 시간 '3분 증시'입니다.<br /><br />연합인포맥스 정윤교 기자 나와 있습니다.<br /><br />안녕하십니까. 먼저 간밤 뉴욕 증시 상황은 어땠습니까?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네, 간밤 뉴욕 증시는 2거래일 연속 하락했습니다.<br /><br />마감가부터 살펴보겠습니다.<br /><br />다우지수는 전장보다 0.02% 내렸고, 대형주 중심의 S&P500지수는 전날보다 0.31%,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전날 대비 0.35% 뒤처지면서 장을 마쳤습니다.<br /><br />새벽 뉴욕 증시를 끌어내린 건 연준의 강성 매파로 불리는 제임스 불러드 세인트루이스 연방준비은행 총재의 발언 때문이었는데요.<br /><br />그는 현재 금리 수준이 충분히 제약적이지 않다며 금리를 추가 인상해야 한다고 했고요.<br /><br />충분히 제약적인 정책금리 수준은 5%에서 7% 사이로 제시했습니다.<br /><br />불러드 총재의 발언 이후 미국 국채 금리는 급등세를 보였고 뉴욕 증시는 하락 압력을 받았습니다.<br /><br />달러화는 다시 강세 쪽으로 가닥을 잡았습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현재 미국 기준금리가 3.75~4%인데 7%라고 하면 앞으로 최대 3%포인트 더 올라야 한다는 거네요?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그렇습니다.<br /><br />불러드 총재는 정책금리가 제약적인 수준이 되려면 최소 5%에서 최대 7%는 돼야 하는데, 덜 엄격한 기준을 적용하면 5% 정도, 더 엄격한 기준을 적용한다면 7%에는 도달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.<br /><br />말씀하신 것처럼 현재 미국의 기준금리보다 최대 3%포인트 높은 수치죠.<br /><br />그동안 시장은 이번 금리 인상 사이클에서 미국의 최종금리가 5% 정도에 이를 것으로 내다봤는데, 연준 고위 관계자가 당초 예상보다 훨씬 더 강경한 입장을 드러낸 겁니다.<br /><br />다만 월가에선 불러드의 최종 금리 수준 전망치에 너무 과도하게 반응할 필요는 없다는 분석도 나왔는데요.<br /><br />불러드 총재의 추정은 경제 이론에 근거한 것으로, 연준의 견해는 아니라는 지적입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간밤에 미국의 경기를 가늠할 수 있는 경제 지표도 많이 나왔는데요.<br /><br />어떻게 나왔습니까?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경제 지표는 대체로 부진했습니다.<br /><br />먼저 10월 주택 착공 실적은 전달보다 4.2% 줄어든 연율 143만 건을 기록했고, 신규 주택 허가 건수도 153만 건으로 전월보다 2.4% 감소했습니다.<br /><br />미국 부동산 시장이 침체 국면에 있다는 것을 보여줬고요.<br /><br />미국 필라델피아 연은 담당 지역의 제조업 활동을 보여주는 11월 필라델피아 연은 제조업 활동 지수는 -19.4로 전달보다 악화했고 3개월 연속 마이너스대를 기록했습니다.<br /><br />미국의 제조업 경기도 위축세라는 점을 시사했다고 볼 수 있고요.<br /><br />또 한 주간 신규 실업보험 청구자 수는 계절 조정 기준으로 전주보다 4천 명 줄어들었지만, 변동성이 덜한 4주 이동평균 실업보험 청구자 수는 전주보다 2천 명 증가하면서 두 달여 만에 최대치를 경신했습니다.<br /><br />월가 전문가들은 연준의 긴축으로 인플레이션은 완화하겠지만 경기침체 가능성이 커졌다고 우려했습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오늘 코스피 전망 짚어주시죠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네, 전날 코스피는 2천440대로 주저앉았는데요.<br /><br />오늘도 우리 시장은 뉴욕 증시의 약세에 따라 하방 압력을 피하지 못할 것으로 예상됩니다.<br /><br />미국 연준의 매파 행보에 대한 경계심으로 달러화 가치가 다시 강세 쪽으로 가닥을 잡은 점도 우리 증시의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이고요.<br /><br />전반적으로 투자 심리는 위축될 것으로 보이는데요.<br /><br />오늘 주목하실 이벤트로는 개장 전 발표될 일본의 10월 소비자물가지수, 오후 장 마감 후 나올 영국의 10월 소매판매 등이 예정돼 있습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감사합니다.<br /><br />지금까지 3분 증시 정윤교 기자였습니다.<br /><br />#3분증시 #뉴욕증시 #코스피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

Buy Now on CodeCanyon